“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평(恭平)@한위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평(恭平) - 김영유(金永濡)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조부로,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1418~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공평(恭平)@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필(公弼)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공하(公嘏)@김석 - 김석(金錫)@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벼슬하지 않음.
1495~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공하(公嘏)@통일신라 - 김석(金錫)@통일신라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 아들.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져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의성 , 인명>왕실>왕자
-
공학사(龔學士)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헌(公獻)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공헌(恭憲)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헌대왕(恭憲大王)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헌왕(恭憲王)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혜(恭惠)@공혜왕후 -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비(妃).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145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혜(恭惠)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혜(恭惠)@원성왕후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공혜(恭惠)@동진 - 동진(董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하였고, 태부(太傅)에 추증됨. 한유(韓愈)가 시호(諡號)를 청하기 위해 행장(行狀)을 지음.
724~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호(公浩) - 이양중(李養中)@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금천부수(錦泉副守)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ㆍ의주 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냄.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호(恭胡)@김종순 - 김종순(金從舜)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계성(金季誠)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5~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호(恭胡)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공화(恭化)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공회(公回) - 양방(楊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 회계(會稽) 사람으로, 고량 태수(高凉太守)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