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회(公晦)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회(恭懷)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효(恭孝)@문장창 - 문장창(文章昶)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경간공(敬簡公) 문효제(文孝悌)의 아들로, 태위(太尉)ㆍ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공효(恭孝)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후(共侯) - 위현성(韋玄成)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위현(韋賢)의 아들로, 부자(父子)가 모두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
?~B.C.3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후(恭厚) - 설미수(偰眉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 등을 지냄.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明)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
1359~141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공휘(公輝) - 김공휘(金公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호(金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숙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에게 수학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토평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희(恭僖)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희(恭僖)@김로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희(恭喜)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공희왕(恭僖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희왕비윤씨(恭僖王妃尹氏)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과(顆)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과거제(科擧制) - 과거(科擧)
일정한 시험을 거쳐 관리를 등용하는 제도. 중국에서는 587년 수(隋) 문제(文帝)가 처음 실시했고, 우리나라에서는 958년(광종 9)에 중국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의해 시행됨. 고려시대의 과거는 크게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ㆍ잡과(雜科)ㆍ승과(僧科)로, 조선시대는 소과(小科)ㆍ문과(文科)ㆍ무과(武科)ㆍ잡과로 구분됨.
958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과당(瓜堂)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과만수(瓜蔓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기린대(麒麟臺)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기명언(奇明彦)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목(基木)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기묘명신(己卯名臣)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