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묘명인(己卯名人)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옥(己卯獄)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옥사(己卯獄事)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제현(己卯諸賢)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지란(己卯之亂)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변(己卯之變)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옥(己卯之獄)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화(己卯之禍)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현인(己卯賢人)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화(己卯禍)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문(起文)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문헌(奇文憲)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방(箕邦)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기백(耆伯)@민수원 - 민수원(閔壽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백(耆伯) - 김숭로(金崇老)
조선 전기의 문신. 충청도 찰방(察訪)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이 써 보낸 송시(送詩)들이 《사가집(四佳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기백(起伯)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백(起伯)@조진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백로(奇伯魯)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범(箕範)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기보(箕報) - 김기보(金箕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갔으며, 품성이 충간(忠簡)하고 문장이 뛰어남.
153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