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부(起夫)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사(期思)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기사(耆司)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耆社)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당상(耆社堂上) - 기로당상(耆老堂上)
조선시대에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文臣)들을 일컫는 말.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賀禮)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기사사화(己巳士禍) - 기사환국(己巳換局)
조선 숙종(肅宗) 15년에 후궁 소의장씨(昭儀張氏)의 소생을 원자(元子)로 정하려는 문제를 기회 삼아 남인(南人)이 서인(西人)을 축출하고 재집권한 사건. 이 사건의 여파로 송시열(宋時烈)은 사사되고, 김수흥(金壽興)ㆍ김수항(金壽恒) 등이 파직됨.
1689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기산(岐山)@삼가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기산령(岐山令) - 이원(李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산수(箕山叟)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서(麒瑞)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기석례(旣夕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기선(基善)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기성(岐城)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기성(杞城)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성(箕聖)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성군(杞城君)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성군(箕城君)@황서 - 황서(黃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장인. 첨의평리(僉議評理)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기성군(箕城君)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성군(騎省君)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