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복(基福) - 김여부(金汝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아들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인품이 경박하고, 권문(權門)에 빌붙어 진취(進取)에 급급하여 결국은 조정에서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복재(奇服齋)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봉(岐峯)@백광홍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기봉(岐峯)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기봉(琦峯) - 해보(海普)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기봉해보선자권(書琦峯海普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기봉(璣峯) - 해선(海璿)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이직(李稷)이 그를 노래한 칠언율시(七言律詩)가 《형재집(亨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기부(起夫)@남복흥 - 남복흥(南復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수의부위(修義副尉) 남맹하(南孟夏)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무공(武功)을 세우고, 명(明) 나라 장수 진린(陳璘)의 접반사(接伴使)를 지냄.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부(起夫)@오흥문 - 오흥문(吳興門)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
-
기부(起夫)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사(期思)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기사(耆司)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耆社)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당상(耆社堂上) - 기로당상(耆老堂上)
조선시대에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文臣)들을 일컫는 말.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賀禮)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기사사화(己巳士禍) - 기사환국(己巳換局)
조선 숙종(肅宗) 15년에 후궁 소의장씨(昭儀張氏)의 소생을 원자(元子)로 정하려는 문제를 기회 삼아 남인(南人)이 서인(西人)을 축출하고 재집권한 사건. 이 사건의 여파로 송시열(宋時烈)은 사사되고, 김수흥(金壽興)ㆍ김수항(金壽恒) 등이 파직됨.
1689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기산(岐山)@삼가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기산령(岐山令) - 이원(李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산수(箕山叟)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서(麒瑞)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기석례(旣夕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기선(基善)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