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성부정(箕城副正)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성조씨(箕城趙氏) - 평양조씨(平壤趙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남송(南宋)에 들어가 공을 세우고 상장군(上將軍)이 된 조춘(趙椿)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평안도>평양 , 인명>집단>성씨
-
기소(耆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손(祺孫) - 정기손(鄭祺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ㆍ서자적(徐自適)ㆍ홍인필(洪仁弼)ㆍ박원량(朴元良)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손(驥孫)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기수(幾叟) - 진연(陳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관(陳瓘)의 질손(姪孫)이며 양시(楊時)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수(期叟)@송요년 - 송요년(宋遙年)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429~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期叟) - 박조년(朴兆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와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기수(期壽)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箕宿) - 기성(箕星)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동방에 있으며 키[箕] 모양을 하고 있음.
자연물>천체
-
기수(耆叟)@유팽성 - 유팽성(柳彭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유세화(柳世華)의 아버지로, 1519년(중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기수(耆叟)@송귀수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 - 민수천(閔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장에 능하여 사유(師儒)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정희수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기수(麒壽)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로(沂水老)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수생(棄繻生)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악온홀필렬(奇渥溫忽必烈)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암(企菴)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