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암(棄庵)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기암(棄庵)@이경헌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기암(畸菴)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양(基陽)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기언(淇彦) - 유오(柳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윤(子潤)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기언(驥彦) - 주덕(周德)
중국 명(明) 나라의 수의(獸醫). 태복(太僕) 축 소경(祝少卿)과 병부(兵部) 단 주사(端主事)를 따라 조선(朝鮮)에 와서 말을 사감.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제수의주기언덕자설후(題獸醫周驥彦德字說後)〉라는 시를 지어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기열(基烈) - 최기열(崔基烈)
고려 후기의 무신. 등주최씨(登州崔氏)의 시조.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 정숙왕후(貞淑王后)의 아버지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무신
-
기영(棄嬰) - 포사(褒姒)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妃).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申后)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 이로 인해 견융(犬戎)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기영본(箕營本) - 송자대전(宋子大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236권 102책. 목판본. 《우암집(尤庵集)》과 《경례문답(經禮問答)》, 부록ㆍ연보 등을 합하여 1787년(정조 11)에 간행됨. 《주자대전(朱子大全)》의 편찬 방식을 따랐으며, 주로 소(疏)ㆍ차(箚)ㆍ서(書)ㆍ명(銘)ㆍ축문ㆍ제문ㆍ신도비명(神道碑銘)ㆍ묘갈명(墓碣銘) 등으로 구성됨.
178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평양ㅣ서울 , 문헌>서명
-
기영사(耆英祠) - 구만서원(龜灣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봉화에 건립한 서원. 금인(琴軔)ㆍ남몽오(南夢鰲)ㆍ박선장(朴善長)ㆍ권호신(權虎臣) 등 4현(賢)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기오(箕五) - 김영한(金寗漢)
근대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진(金鴻鎭)의 아들로, 형조 판서 김석진(金奭鎭)에게 입양됨.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9대손(代孫)으로,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序文)ㆍ발문(跋文)을 씀.
1878~? 한국>근대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기옥(奇玉)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옥(璣玉)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옹(寄翁)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옹(畸翁)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와(寄窩)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왕(岐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기왕(沂王) - 조악(趙㮙)
중국 송(宋) 휘종(徽宗)의 아들. 기왕(沂王)으로 봉해졌으며, 아들이 이종(理宗)으로 등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기왕(箕王)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왕(箕王)@준왕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