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수(耆叟)@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 - 민수천(閔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장에 능하여 사유(師儒)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정희수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기수(麒壽)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로(沂水老)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수생(棄繻生)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악온홀필렬(奇渥溫忽必烈)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암(企菴)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암(棄庵)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기암(棄庵)@이경헌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기암(畸菴)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양(基陽)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기언(淇彦) - 유오(柳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윤(子潤)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기언(驥彦) - 주덕(周德)
중국 명(明) 나라의 수의(獸醫). 태복(太僕) 축 소경(祝少卿)과 병부(兵部) 단 주사(端主事)를 따라 조선(朝鮮)에 와서 말을 사감.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제수의주기언덕자설후(題獸醫周驥彦德字說後)〉라는 시를 지어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기열(基烈) - 최기열(崔基烈)
고려 후기의 무신. 등주최씨(登州崔氏)의 시조.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 정숙왕후(貞淑王后)의 아버지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무신
-
기영(棄嬰) - 포사(褒姒)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妃).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申后)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 이로 인해 견융(犬戎)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기영본(箕營本) - 송자대전(宋子大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236권 102책. 목판본. 《우암집(尤庵集)》과 《경례문답(經禮問答)》, 부록ㆍ연보 등을 합하여 1787년(정조 11)에 간행됨. 《주자대전(朱子大全)》의 편찬 방식을 따랐으며, 주로 소(疏)ㆍ차(箚)ㆍ서(書)ㆍ명(銘)ㆍ축문ㆍ제문ㆍ신도비명(神道碑銘)ㆍ묘갈명(墓碣銘) 등으로 구성됨.
178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평양ㅣ서울 , 문헌>서명
-
기영사(耆英祠) - 구만서원(龜灣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봉화에 건립한 서원. 금인(琴軔)ㆍ남몽오(南夢鰲)ㆍ박선장(朴善長)ㆍ권호신(權虎臣) 등 4현(賢)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기오(箕五) - 김영한(金寗漢)
근대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진(金鴻鎭)의 아들로, 형조 판서 김석진(金奭鎭)에게 입양됨.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9대손(代孫)으로,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序文)ㆍ발문(跋文)을 씀.
1878~? 한국>근대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기옥(奇玉)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