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옥(璣玉)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옹(寄翁)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옹(畸翁)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와(寄窩)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왕(岐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기왕(沂王) - 조악(趙㮙)
중국 송(宋) 휘종(徽宗)의 아들. 기왕(沂王)으로 봉해졌으며, 아들이 이종(理宗)으로 등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기왕(箕王)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왕(箕王)@준왕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기우(騎牛)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우(騎牛)@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우선생문집(騎牛先生文集) - 기우집(騎牛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이행(李行)의 시문집(詩文集). 3권 1책. 병자호란 등으로 인해 산일(散佚)된 시문을 후손들이 수집한 끝에 1872년(고종 9)에 밀양(密陽)에서 간행함.
187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기우자(騎牛子)@이행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우자(騎牛子)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기우재(騎牛齋)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욱장(淇澳章) - 기욱(淇奧)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시경(詩經)》 〈국풍(國風)〉 〈위풍(衛風)〉의 한 편명(篇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무공(武公)의 덕을 찬미한 내용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기욱편(淇奥篇) - 기욱(淇奧)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시경(詩經)》 〈국풍(國風)〉 〈위풍(衛風)〉의 한 편명(篇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무공(武公)의 덕을 찬미한 내용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기원(杞園)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원(起元) - 백민수(白民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들로, 경서(經書)와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임진왜란 때 장인(丈人) 문위세(文緯世)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長水), 금산(錦山) 등에서 전공을 세움.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
-
기은(棄隱)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기은(箕殷)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