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준(耆俊) - 이기준(李耆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첫째 아들.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지냄.
1555~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준(起峻) - 황기준(黃起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호분위 부호군(虎賁衛副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중(器重)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기중(幾仲) - 김서(金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흥 현감(大興縣監)을 지낸 김계문(金季文)의 아들.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동생으로, 영평 현령(永平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중(期仲)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중(機仲)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지(企之) - 유희정(柳希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전관(宣傳官)ㆍ남원 판관(南原判官)ㆍ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했음.
1472~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기지(器之)@황호 - 황호(黃瑚)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기지(器之) - 김안세(金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의 중형(仲兄). 이조 좌랑(吏曹佐郞), 비안 현감(庇安縣監) 등을 역임함.
147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기지(器之)@유안세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지(器之)@이식 - 이식(李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계양(李繼陽)의 아들이며, 퇴계 이황(李滉)의 아버지로, 아우인 이우(李堣)와 함께 학문 연구에 정진함.
1463~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기지(器之)@진식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지(器之)@이연 - 이연(李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경원부수(慶源副守)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밀산부수(密山副守) 이신손(李信孫)에게 출계함.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기지(己摯)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기지(耆之)@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조대춘 - 조대춘(趙大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조목(趙穆)의 아버지.
1487~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이이수 - 이이수(李頤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전(李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으며, 진도 군수(珍島郡守)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임춘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기지(起之)@유공작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