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무(文^武)
중국 주(周) 나라의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조선시대 관리 선발 시험인 문과(文科)와 무과(武科)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주ㅣ한국>조선시대 , 사상>술어>관용어
-
문갑(文甲)
중국 고대 요(堯)임금 시대의 전설상의 인물. 낙수(洛水) 가에서 은둔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경(文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달한(文達漢)의 아버지.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으며, 남평군(南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계창(文繼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탁월한 무재(武才)로써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발탁됨.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곡집(文谷集)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수항(金壽恒)의 문집. 활자본. 28권 13책. 아들인 김창집(金昌集)과 김창협(金昌協)이 주도하여 1699년(숙종 25)에 운각활자(芸閣活字)를 빌려 간행함.
16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문헌>서명
-
문공(文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정공(定公) 아들로, 맹자(孟子)에게 일련의 왕도정치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인정(仁政)과 예제(禮制)를 시행하고 교육을 진작시켰으며, 세금개혁 등을 실행함.
?~B.C.3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09. 희공(僖公)의 아들. 상중(喪中)에 장가가고, 종묘에 삭일(朔日)을 고유(告由)하는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등 구례(舊例)를 따르지 않아서 공자 및 후세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음.
B.C.693~B.C.6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72~B.C.637. 여공(厲公)의 아들로,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망명할 때에 잘 접대하지 않고 치욕을 주어 문공이 중원의 패자가 된 후에 소인배로 지목받아 토벌 대상이 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35~B.C.628.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으로, 제(齊) 환공(桓公)에 이어 제후들의 패자(覇者)가 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제후. 위(衛) 나라가 적(狄)의 침입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齊) 환공(桓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라 위 나라를 부흥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위 B.C.754~B.C.745. 평공(平公)의 아들이며, 환공(桓公)과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평공을 계승하여 진 나라의 제후가 됨.
?~B.C.7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어록(文公語錄)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ㆍ학자인 요덕명(廖德明)이 주희(朱熹)의 어록을 모아 엮은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공원(文公元)
고려 예종(睿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둘째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의종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4~1156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공인(文公仁)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정지상(鄭知常)과 함께 묘청(妙淸)을 성인이라 추앙하고 서경(西京) 천도 주장에 동조하여 탄핵을 받고 좌천됨.
1065~113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