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축변(己丑變)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사화(己丑士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옥(己丑獄)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변(己丑之變)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옥(己丑之獄)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화(己丑之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화(己丑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충헌(奇忠獻)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평군(杞平君)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포(杞圃) - 박우(朴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이괄(李适)의 난(亂)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쌍령(雙嶺)에서 전사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기하(基夏)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기해동정(己亥東征)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기해정왜역(己亥征倭役)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기허(騎虛) - 영규(靈圭)
조선 광해군(光海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 수백명을 규합하여 청주성(淸州城)의 왜적을 격퇴하고,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여 격전 끝에 순국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기허당(騎虛堂) - 영규(靈圭)
조선 광해군(光海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 수백명을 규합하여 청주성(淸州城)의 왜적을 격퇴하고,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여 격전 끝에 순국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기헌(棄軒)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헌(耆獻)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헌보(奇獻甫)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현(基賢)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기호(綺皓)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