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홍(箕洪)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기효(紀效) - 기효신서(紀效新書)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병서(兵書). 척계광이 절강현(浙江縣) 참장(參將)으로 있을 때 왜구(倭寇)를 소탕하기 위하여 편찬한 것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병영 편제에 영향을 끼침.
1560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기후(基厚) - 김기후(金基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김윤안(金允安)의 아들로, 숙부(叔父)인 김윤문(金允文)에게 출계(出系)함. 1627년(인조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82~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기후(奇后) - 기황후(奇皇后)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皇后). 본관은 행주(幸州). 고려인 기자오(奇子敖)의 딸로, 북원(北元) 소종(昭宗)의 생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왕실>왕비
-
기후(祁侯) - 등후(鄧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등(鄧) 나라의 제후. 조카인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길(佶) - 이길(李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吉) - 장길(張吉)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안동장씨(安東張氏)의 시조.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고창(高昌)에서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 아부공신(亞父功臣)이 책록되고, 태사(太師)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길(洁)@이중호의아들 - 이길(李洁)@이중호의아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응교(應敎)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형 이급(李汲)ㆍ이발(李潑)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47~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길(洁)@이영춘의아버지 - 이길(李洁)@이영춘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4대손이며, 음성 현감(陰城縣監) 이영춘(李榮春)의 아버지로, 서부 주부(西部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길계(吉繼) - 대곡길계(大谷吉繼)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그곳 병력이 적은 것을 염려해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59~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길국(秸鞠)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길권(吉卷)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길리(吉利)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길민(吉旼) - 홍길민(洪吉旼)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보현(洪普賢)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고신(告身)에 서경(署經)을 거부하다가 파직되었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5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父)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홍경손 - 홍경손(洪敬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아들이며, 고려 왕족인 왕규(王珪)의 외손.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1409~148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윤길보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길보(吉甫)@노홍우 - 노홍우(盧弘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선조(宣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노직(盧稙)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지냈음.
1552~16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윤선거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김우 - 김우(金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륵(金玏)의 조부이며, 박임종(朴林宗)의 사위.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