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길보(吉甫)@이경절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탁계정 - 탁계정(卓季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商) - 이길상(李吉商)
고려 후기의 유학.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이색의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祥) - 이길상(李吉祥)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우정언(右正言)을 지낸 이존오(李存吾)의 아버지로, 사재시 승(司宰寺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길상사(吉祥寺) - 송광사(松廣寺)
전라남도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사찰. 신라 말 체징(體澄)이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인사(海印寺)ㆍ통도사(通度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유명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길생(吉生)@윤길생 - 윤길생(尹吉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국공신(靖國功臣) 윤희평(尹熙平)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길생(吉生) - 우길생(禹吉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버지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362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적성군(赤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성(吉城)@길주 - 길주(吉州)
함경도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명천현(明川縣), 서쪽으로 단천군(端川郡)과 접해 있으며, 세조(世祖) 때 이시애(李施愛)가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켜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됨.
함경도>길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城) - 결성(結城)
현재 충청남도 홍성(洪城) 광천읍(廣川邑)과 결성면(結城面)ㆍ서부면(西部面)ㆍ구항면(龜項面)ㆍ은하면(銀河面)까지 포함했던 옛 고을 이름.
충청도>결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成)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길수(吉秀)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길안(吉安) - 이길안(李吉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이감(李堪)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길안도정(吉安都正)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안정(吉安正)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야은(吉冶隱)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야은문집(吉冶隱文集)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길원(吉元)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길원(吉遠) - 신희남(愼喜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붕당을 싫어하여 자청해서 금산 군수(金山郡守)로 나갔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시와 글씨에 뛰어나 한호(韓濩)에게 서예를 가르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길원군(吉源君)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재(吉哉)@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