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길보(吉甫)@박경길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길보(吉甫)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증기 - 증기(曾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유(陸游)의 스승으로, 진회(秦檜)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權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음.
1084~11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감절 - 감절(甘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고제(高弟)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여혜경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유여 - 유여(柳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의 아들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인 유원지(柳元之)의 아버지로,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1578~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조선 - 이길보(李吉甫)@조선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우보(李祐甫)의 형으로, 문과(文科)에 세 번이나 급제하였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당 - 이길보(李吉甫)@당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재상.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黨)과 대립함. 저서에 《원화군현도지(元和郡縣圖志)》 등이 있음.
758~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이경절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탁계정 - 탁계정(卓季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商) - 이길상(李吉商)
고려 후기의 유학.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이색의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祥) - 이길상(李吉祥)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우정언(右正言)을 지낸 이존오(李存吾)의 아버지로, 사재시 승(司宰寺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길상사(吉祥寺) - 송광사(松廣寺)
전라남도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사찰. 신라 말 체징(體澄)이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인사(海印寺)ㆍ통도사(通度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유명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길생(吉生)@윤길생 - 윤길생(尹吉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국공신(靖國功臣) 윤희평(尹熙平)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길생(吉生) - 우길생(禹吉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버지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362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적성군(赤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성(吉城)@길주 - 길주(吉州)
함경도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명천현(明川縣), 서쪽으로 단천군(端川郡)과 접해 있으며, 세조(世祖) 때 이시애(李施愛)가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켜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됨.
함경도>길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城) - 결성(結城)
현재 충청남도 홍성(洪城) 광천읍(廣川邑)과 결성면(結城面)ㆍ서부면(西部面)ㆍ구항면(龜項面)ㆍ은하면(銀河面)까지 포함했던 옛 고을 이름.
충청도>결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成)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길수(吉秀)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길안(吉安) - 이길안(李吉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이감(李堪)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