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길재(吉哉)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길적(吉賊) - 길삼봉(吉三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도적. 정여립(鄭汝立)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최영경(崔永慶)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도적
-
길주군(吉州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지(吉之)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吉昌)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길창군(吉昌君)@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걸 - 권걸(權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람(權攬)의 아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적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창군공(吉昌郡公)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제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천군(吉川君)@권반 - 권반(權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윤국형(尹國馨)의 문인(門人).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