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길천군(吉川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통(吉通)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흉경조지식(吉凶慶弔之式) - 길흉경조제규(吉凶慶弔諸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 같은 시기에 지은 〈봉선제규(奉先諸規)〉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길흉제규(吉凶諸規) - 길흉경조제규(吉凶慶弔諸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 같은 시기에 지은 〈봉선제규(奉先諸規)〉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김감로(金甘露)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김감역(金監役) - 김익휘(金益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개(金鎧)의 아들로, 음보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
1533~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강숙(金剛叔)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김개륭(金愷隆)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거경(金居敬)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건운(金乾運) - 혜공왕(惠恭王)
신라 제36대 국왕. 재위 765~780. 경덕왕(景德王)의 장남으로 8세에 즉위함.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고 흉년이 들었는데도 사치와 음탕한 생활을 일삼음. 780년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는 도중에 피살당함.
756~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로(金慶老)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경숙(金敬叔)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김경신(金敬信)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신(金敬愼)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엄(金景嚴)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경원(金慶源)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김경인(金景仁)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경추(金景鄒) - 김정오(金定旿)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존정(金存正)의 아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景鄒)에서 정오(定旿)로 고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경칙(金敬則)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회(金景晦) - 김은휘(金殷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정지운(鄭之雲)의 문인(門人)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집하여 체찰사(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고,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