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경신(金敬信)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신(金敬愼)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엄(金景嚴)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경원(金慶源)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김경인(金景仁)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경추(金景鄒) - 김정오(金定旿)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존정(金存正)의 아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景鄒)에서 정오(定旿)로 고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경칙(金敬則)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회(金景晦) - 김은휘(金殷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정지운(鄭之雲)의 문인(門人)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집하여 체찰사(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고,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계수(金季綏)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계숙(金繼叔) - 김윤안(金胤安)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1577년(선조 10) 교우들과 송학사(松鶴寺) 세심대(洗心臺)에 올라간 일을 읊은 시가 김륭(金隆)의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계응(金季應) - 김난상(金鸞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고, 1545년(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와 1547년(명종 2)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유배되었으나,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507~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광서(金光敍) - 김광서(金光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김구(金坵)의 현손으로, 지고부군사(知古阜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광숙(金光叔) - 김광서(金光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김구(金坵)의 현손으로, 지고부군사(知古阜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광암(金光庵)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김교(金僑) - 김교(金嶠)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1479년(성종 10)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였으며,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냄.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
1428~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구(金玖) - 김생(金生)
통일신라의 서예가.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이라 불림.
711~?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김구문(金耉文) - 김기주(金起周)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 〈잡기(雜記)〉에 개성 유장(開城鍮匠) 한순계(韓順繼)에 대해 평(評)한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구이(金九二)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구전(金苟全)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구해(金仇亥) - 구형왕(仇衡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제10대 왕. 재위 521~532. 신라(新羅)의 귀족 김서현(金舒玄)의 조부.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上等)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食邑)으로 받음.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