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문곡(金文谷) - 김수항(金壽恒)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고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함.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당대 제일로 꼽힘.
162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문길(金文吉) - 김첨경(金添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윤개(尹漑)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金虯) 등을 구원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역학(易學)과 경학(經學)에 밝음.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문민(金文敏)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문창(金文昌) - 김명성(金鳴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에게 배웠고, 김륵(金玏)ㆍ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문충(金文忠) - 김수항(金壽恒)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고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함.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당대 제일로 꼽힘.
162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문충(金文忠)@김종수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문충(金文忠)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물(金勿) - 김몰(金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필(金㻶)의 아들이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김괴(金塊)의 동생.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김물암(金勿巖)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김미강(金渼江) - 김탄행(金坦行)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金濟謙)의 아들. 신임옥사(申壬獄事)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錦山)에 유배되고, 영조(英祖)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714~177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지 , 인명>관인>문신
-
김백순(金伯純)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백암(金希玉)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백일(金百鎰) - 김구(金坵)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시문(詩文)에 능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북정록(北征錄)》을 지었으며, 《고종실록(高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211~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법민(金法敏) - 문무왕(文武王)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681.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나당(羅唐)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별좌(金別坐) - 김수인(金守仁)
조선 전기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명원(金命元)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지내다가 요절함.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애사(哀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병산(金甁山) - 김난상(金鸞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고, 1545년(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와 1547년(명종 2)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유배되었으나,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507~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보(金輔) - 김보(金寶)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삼택(李三宅)ㆍ오건(吳健)과 교유함. 《덕계집(德溪集)》의 〈덕계선생연보(德溪先生年譜)〉에 환아정(換鵝亭)에서 놀면서 시(詩)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부(金傅) - 경순왕(敬順王)
신라 제56대 왕. 재위 927~935. 927년 후백제 견훤(甄萱)에 의해 옹립되었으며, 935년 고려 태조(太祖)에게 항복함. 낙랑공주(樂浪公主)를 아내로 맞고 정승공(政承公)에 봉해졌으며, 경주(慶州)의 사심관(事審官)에 임명됨으로써 고려시대 사심관제도의 시초가 됨.
?~97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부철(金富轍) - 김부의(金富儀)@고려
고려 문종(文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아들. 1134년(인종 12) 형인 김부식(金富軾)과 함께 묘청(妙淸)의 반란을 평정함.
1079~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빈(金嬪) - 인빈김씨(仁嬪金氏)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본관은 수원(水原). 후궁 가운데 가장 왕의 총애를 받아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 등 4남 5녀를 둠.
1555~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