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빈지(金彬之) - 김취빈(金就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사(金寺) - 김생사(金生寺)
신라의 명필(名筆)인 김생(金生)이 만년에 세웠다는 사찰. 충청북도 청원(淸原) 문의면(文義面)에 절터가 있었으나 지금은 수몰되고 없음.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사찰
-
김사군(金使君) - 김선초(金善初)
조선 전기의 문신. 《구암집(龜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김사담(金沙潭)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사안(金師顔) - 김경우(金景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전한(典翰)을 지낸 김기(金紀)의 아들이며, 김식(金湜)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며, 기대승(奇大升)ㆍ김인후(金麟厚)ㆍ양응정(梁應鼎) 등과 시회(詩會)를 만들어 교유함.
1517~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김사재(金四宰)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사정(金士亭) - 김복(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양사언(楊士彥)의 《봉래시집(蓬萊詩集)》에 차운한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사회(金士晦)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삼맥종(金三麥宗) - 진흥왕(眞興王)
신라 제24대 왕. 재위 540~576. 법흥왕(法興王)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아들.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漢江) 유역을 차지하고, 신라 최대의 영토를 확장하여 4개의 순수비(巡狩碑)를 세웠으며, 《국사(國史)》를 편찬하고, 화랑도(花郞徒)를 만드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형성함.
534~576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상사(金上舍) - 김정언(金廷彦)
조선 전기의 유학. 기대승(奇大升)의 《고봉집(高峯集)》에 실려 있는 〈정효자시서급서(鄭孝子詩序及書)〉라는 글에 나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상상(金上庠) - 김의(金義)
조선 전기의 유학. 노진(盧禛)이 지은 〈순자루주차김상상운(鶉子樓走次金上庠韻)〉이라는 시가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생(金甥) - 김유일(金有一)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생찰(金生刹) - 김생사(金生寺)
신라의 명필(名筆)인 김생(金生)이 만년에 세웠다는 사찰. 충청북도 청원(淸原) 문의면(文義面)에 절터가 있었으나 지금은 수몰되고 없음.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사찰
-
김서정(金瑞庭)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서초(金恕初)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석당(金石堂)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선(金璇) - 김선(金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김태경(金泰卿)의 아들.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선경(金善慶) - 김흥우(金興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청풍(淸風). 김육(金堉)의 아버지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1585년(선조 18)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강릉 참봉(江陵參奉)을 지냄. 문사(文辭)에 능하며 글씨를 잘 썼음.
1564~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선생(金船生)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선생우정집(金先生憂亭集) - 우정집(憂亭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극성(金克成)의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후손 김영수(金永秀)ㆍ김헌수(金憲秀) 등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송내희(宋來熙)의 서문과 정귀석(鄭龜錫)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