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과(文科)
조선시대에 문관(文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式年試)는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 이 외에 증광시(增廣試)ㆍ별시(別試)ㆍ정시(庭試)ㆍ알성시(謁聖試)ㆍ춘당대시(春塘大試)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광서(文光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선동(文善仝)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겸(文克謙)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공유(文公裕)의 아들.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명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122~11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순(文克純)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며, 문극겸(文克謙)의 아우. 의종 때 내사인(內舍人)이 되었다가 환관 정함(鄭諴)의 일로 인해 파직되고, 명종 때 내급사(內給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유(文克裕)
고려 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문중달(文仲達)의 아들로,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이(文克易)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며 문극겸(文克謙)ㆍ문극순(文克純)의 아우로, 형 문극순과 함께 음직(蔭職)으로 벼슬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충(文克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승욱(文承郁)의 아들이며, 문계창(文繼昌)의 아버지로,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근(文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調劑)하는 역할을 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급(文伋)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다성(文多省)의 아들. 용호대장군(龍虎大將軍)이 되어 여진족(女眞族)을 토벌한 공으로 영녕남(永寧男)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문달한(文達漢)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하평리(門下評理)로서 양광 경상도 도체찰사(楊廣慶尙道都體察使)로 나갔다가 옥주(沃州)ㆍ개태사(開泰寺) 등지에 침입한 왜적을 왕안덕(王安德) 등과 함께 공주 반룡사(盤龍寺)에서 대파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문덕왕후(文德王后)
고려 제6대 성종(成宗)의 비(妃). 고려 제4대 왕인 광종(光宗)의 딸.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륵(文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이자, 문할(文劼)의 동생.
15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립(文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초주(譙周)를 사사(師事)했으며, 촉한(蜀漢) 명신(名臣)들의 자손을 서용(敍用)하자고 군주에게 권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