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숙명(金叔明)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김숙예(金叔藝)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순(金珣)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순(金詢) - 김순(金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백경(金伯卿)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ㆍ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순거(金舜擧)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순지(金醇之) - 김백순(金伯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경학에 밝아 정사룡(鄭士龍)ㆍ박세호(朴世豪) 등과 함께 사유(師儒)에 뽑힘.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관인>문신
-
김순초(金順初)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시언(金時言)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신원(金信元)@김이원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신재(金愼齋)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심맥부(金深麥夫) - 진흥왕(眞興王)
신라 제24대 왕. 재위 540~576. 법흥왕(法興王)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아들.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漢江) 유역을 차지하고, 신라 최대의 영토를 확장하여 4개의 순수비(巡狩碑)를 세웠으며, 《국사(國史)》를 편찬하고, 화랑도(花郞徒)를 만드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형성함.
534~576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안국(金安國)@김안정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약봉(金藥峯)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양경(金良鏡)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양수(金楊燧) - 김양보(金楊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김주(金澍)의 아들로, 문경 현감(聞慶縣監)ㆍ선위사(宣慰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언륜(金彦倫)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언신(金彦莘) - 김언신(金彦辛)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77년(성종 8)에 유자광(柳子光)의 사주를 받아 도승지(都承旨)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하였다가 하옥되었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4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언유(金彦諭) - 김언겸(金彦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인손(金仁孫)의 아들. 아들 김현성(金玄成)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김여가(金汝嘉)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김여강(金汝强) - 김언욱(金彦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宣祖)를 호종하였음. 정철(鄭澈)ㆍ조헌(趙憲) 등과 교유함.
154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