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운강(金雲江)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운보(金雲甫)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운부(金雲夫)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원보(金元甫)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원조(金原祖) - 김적(金積)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만김원조(挽金原祖)〉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원충(金元冲)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월봉(金月峯)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위원(金渭原) - 김효량(金孝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의 장인으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김위홍(金魏弘)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김유관(金游觀)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유일재(金惟一齋)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윤호(金允湖) - 김윤호(金允浩)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융기(金隆基)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金凝)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렴(金凝廉)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렴(金膺廉)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룡(金應龍)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응린(金應麟)@김지연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응서(金應瑞)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김응선(金應善)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