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점(金玷) - 김점(金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기대승(奇大升)의 큰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의 장인.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晸)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정(金正) - 김원효(金元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정명(金政明)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정부(金正夫)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정용(金挺庸)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정준(金廷俊)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제륭(金悌隆)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제민(金齊閔)@김구용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제배(金悌裵)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제상(金堤上)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김종훤(金宗烜)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김주(金州)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주도(金周道)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김주도호부(金州都護府)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주영(金珠永) - 김주영(金朱永)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의원(金義元)의 아들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역임하고 상장군(上將軍)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중거(金仲擧)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중룡(金仲龍)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중온(金仲昷)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중회(金重晦)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