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학록(金學錄)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학유(金學諭)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한훤(金寒暄)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한훤당(金寒暄堂)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해군(金海君) - 배원룡(裵元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배사혁(裵斯革)의 아들로 염흥방(廉興邦)의 양자가 되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짐. 김해배씨(金海裵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해군(金海君)@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해소경(金海小京)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해후(金海侯)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행(金幸)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헌가(金獻可) - 김순(金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백경(金伯卿)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ㆍ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헌영(金憲英) - 경덕왕(景德王)
신라 제35대 왕. 재위 742~765년. 성덕왕(聖德王)의 아들이며 효성왕(孝成王)의 동생.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관직을 중국식으로 고치고 유학교육에 힘썼으며, 석굴암(石窟庵)ㆍ불국사(佛國寺) 등을 창건하여 불교 중흥에 이바지함.
?~76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헌헌헌(金軒軒軒) - 김여중(金汝重)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는 이후백(李後白)ㆍ박순(朴淳)에게 배웠고, 장성해서는 박광전(朴光前)에게 배움.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과 무주(茂朱)의 전투에 참여하였고,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을 따라 많은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김현경(金顯卿)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형언(金亨彦)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호송(金護送) - 김희중(金希中)
조선 전기의 무신.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김화남(金華南)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晃) - 정강왕(定康王)
신라 제50대 왕. 재위 886~887.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형인 헌강왕(憲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재위기간이 짧아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88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황강(金黃岡)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회숙(金晦叔)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