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낭간거사(琅玕居士)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낭릉(朗陵) - 순숙(荀淑)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梁冀)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 낭릉후(朗陵侯)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神君)이라는 칭호를 얻음.
83~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낭사(浪士)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산(朗山)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산(朗山)@여산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낭산(浪山)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선(浪仙)@가도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선(浪仙)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낭선도객(浪仙島客)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한보 - 한보(韓堡)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47~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 - 이계감(李季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낸 이창우(李昌祐)의 아들이며,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이방직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이성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성부령(琅城副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성부원군(琅城府院君) - 한수경(韓守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평난공신(平難功臣) 한준(韓準)의 아버지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정(琅城正)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수(浪叟) - 이난(李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여섯째 아들로, 방산수(方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낭야(琅琊)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야공왕(琅琊恭王) - 사마근(司馬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동진(東晉) 원제(元帝)의 아버지.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낭야왕(琅琊王)@경제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