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낭옹(浪翁)@이식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낭원(狼原)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낭읍(朗邑)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자곡성(狼子谷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낭자성(狼子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낭잠(郞潛)@안사 - 안사(顔駟)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3세(世)를 섬겼으나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낭주(朗州)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주(浪州)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낭천군(狼川君)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풍잠(閬風岑) - 낭풍전(閬風巓)
중국 전설의 산인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는 봉우리 이름. 선녀(仙女)인 서왕모(西王母)가 거주했던 곳이라고 전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낭혜화상(朗慧和尙)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내(來) - 권래(權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손자로,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내(鼐) - 정내(鄭鼐)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선략장군(宣略將軍) 정갑선(鄭甲先)의 아들이며, 함흥 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군직(軍職)을 제수 받음.
1491~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내경(內景)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內經) - 황제내경(黃帝內經)
중국 고대 신화상의 인물인 황제(黃帝)와 신하이자 명의인 기백(岐伯)이 의술에 관해 토론한 것을 기술한 책. 진한(秦漢)시대에 가탁(假託)한 것이라고도 함. 18권.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경(內景經)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공(萊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국(萊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국공(萊國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귀(來歸)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