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무왕(文武王)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681.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나당(羅唐)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문방사보(文房四譜)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이간(蘇易簡)의 저서. 종이ㆍ먹ㆍ붓ㆍ벼루 등 4가지 문방구의 종류와 역사에 대해 서술함. 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봉서원(文峯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고양(高陽)에 창건된 서원(書院). 1709년(숙종 35) 사액되었으며, 민순(閔純)ㆍ남효온(南孝溫)ㆍ김정국(金正國)ㆍ기준(奇遵)ㆍ정지운(鄭之雲)ㆍ홍이상(洪履祥)ㆍ이신의(李愼儀)ㆍ이유겸(李有謙) 등을 배향함.
168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봉집(文峯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유일(鄭惟一)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시문은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산일되었으나, 1799년(정조 23)에 후손 정종박(鄭宗璞) 등이 유문(遺文)을 수습하여 간행함.
179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문부(文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가 저술한 문학이론서(文學理論書). 작자의 나이 20세 때 부(賦)의 형식으로 문학의 이론을 논한 작품으로, 중국 문학 비평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21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문산계(文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에게, 조선시대에는 문반에게 지급한 관계(官階)로, 신분(身分)과 직종(職種) 등에 따라 한품(限品)의 규정이 다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상경(文尙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유학 문명필(文命弼)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문선동(文善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화 현령(文化縣令) 문광서(文光瑞)의 아버지로, 한산 군수(韓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문선제(文宣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550~559. 고환(高歡)의 아들로, 동위(東魏)의 효정제(孝靜帝)를 폐하고 북제를 세웠으며, 즉위 초에는 정사에 힘쓰고 북방의 이민족을 격파하였으나, 후에는 폭정을 하여 국력이 쇠퇴함.
529~55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성(文星)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로, 문신(文臣) 또는 문재(文才)가 있는 사람을 가리킴.
자연물>천체
-
문성문명황후(文成文明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문성제(文成帝)의 황후(皇后). 헌문제(獻文帝)의 적모(嫡母)이며 효문제(孝文帝)의 적조모(嫡祖母). 헌문제가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수렴청정을 했는데, 헌문제가 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태후는 헌문제를 시해함.
442~4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문성제(文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4대 황제. 재위 452~465. 탁발황(拓跋晃)의 아들이며, 헌문제(獻文帝)의 아버지로, 숙부인 안남왕(安南王)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民力)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
440~4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