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내(鼐) - 정내(鄭鼐)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선략장군(宣略將軍) 정갑선(鄭甲先)의 아들이며, 함흥 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군직(軍職)을 제수 받음.
1491~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내경(內景)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內經) - 황제내경(黃帝內經)
중국 고대 신화상의 인물인 황제(黃帝)와 신하이자 명의인 기백(岐伯)이 의술에 관해 토론한 것을 기술한 책. 진한(秦漢)시대에 가탁(假託)한 것이라고도 함. 18권.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경(內景經)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공(萊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국(萊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국공(萊國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귀(來歸)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내기(奈己)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내등여안(內藤如安)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내령(奈靈)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내무(萊蕪) - 범염(范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
112~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내미홀(內米忽)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내복(來復)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내복재(來復齋)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내봉(萊峯)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내산(內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내산(徠山) - 조래산(徂徠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이백(李白)이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裴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내산국(萊山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산부원군(萊山府院君) - 정흠지(鄭欽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정부(鄭符)의 아들. 태종 때 하륜(河崙)과 박은(朴訔)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어 황보인(皇甫仁)과 함께 《진설(陣說)》을 찬진(撰進)함.
1378~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