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내생(柰生)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내석(乃錫) - 박내석(朴乃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박광전(朴光前)의 5대손으로, 1754년(영조 30) 박광전의 문집인 《죽천집(竹川集)》을 초간함.
1697~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내선(乃善) - 곽승화(郭承華)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고, 청개(淸介)한 인품으로 사우(士友)들의 추앙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내성(柰城)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내소(來蘇)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내소(萊巢) - 적성(積城)
경기도 파주(坡州) 적성면(積城面)과 양주(楊州) 남면(南面) 일대에 해당하던 고을 이름.
경기도>적성 , 지명>행정지명
-
내소(來韶) - 유천봉(劉天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유창(劉敞)의 아버지로, 안악 군사(安岳郡事)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내신(鼐臣)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내암(來庵)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내암(萊庵)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내암선생문집(來庵先生文集) - 내암집(來庵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인홍(鄭仁弘)의 시문집. 15권 7책. 목활자본. 1908년(순종 2) 저자의 신원복작(伸寃復爵)이 행해지자 후손들이 유문의 수집에 착수하여, 1911년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내옥(乃沃)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내옹(乃翁) - 배윤견(裵允堅)
고려 후기의 문신. 중국 원(元) 나라의 과거에 급제하고, 황제의 천수절(天壽節)을 하례하기 위한 사신으로 선발됨. 이곡(李穀)이 지은 호설(號說)이 《가정집(稼亭集)》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내욕거사(耐辱居士)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내원(乃元) - 유형식(柳亨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내원암(內院庵) - 내원사(內院寺)
조선시대 경상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에 있던 사찰. 사찰 내에 조현당(釣賢堂)ㆍ나월헌(蘿月軒)ㆍ득검지(得劍池)가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내이(柰已)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내자(萊子)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내주(萊州)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촌(耐村) - 강홍립(姜弘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신(姜紳)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