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櫓) - 이노(李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아들로,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지냄.
1509~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노(櫨) - 양노(梁櫨)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노(璐) - 안로(安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당(安瑭)의 손자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아들로,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등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노(老) - 강노(姜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노(輅) - 김로(金輅)@고려
고려 후기의 무신.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중시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할아버지로, 좌우위 보승 낭장(左右衛保勝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무신
-
노(輅)@이노 - 이노(李輅)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이며 교하 현감(交河縣監) 이원우(李元友)의 아들.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판사(敦寧府判事) 등을 지냄.
1536~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輅)@성로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노(魯)@이노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노(魯)@김로 - 김로(金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金希壽)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음.
149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老) - 남노(南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성균관 전적(城均館典籍)을 지낸 남숭(南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노^낙^양^왕(盧^駱^楊^王) - 초당사걸(初唐四傑)
중국 당(唐) 나라 초기에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을 가리킴.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士族) 출신으로, 젊어서 시단(詩壇)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노^부(盧^跗) - 유^편(兪^扁)
중국 고대 헌원(軒轅) 때의 의관(醫官)인 유부(兪跗)와 주(周) 나라의 의관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명의(名醫)를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석(老^釋) - 석^노(釋^老)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佛敎)의 창시자인 석가(釋迦)와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이자 도교(道敎)의 창시자인 노자(老子)를 함께 부르는 말. 흔히 불교와 도교를 가리키며, 유교적 관점에서는 대표적인 이단(異端)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순^장(老^荀^莊) - 노^장^순^열(老^莊^荀^列)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노자(老子)ㆍ장주(莊周)ㆍ순황(荀況)ㆍ열어구(列禦寇)를 함께 부르는말. 노자ㆍ장주ㆍ열어구는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이고, 순황은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한 인물로,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겸(勞謙) - 정노겸(鄭勞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의 아들로, 남부 주부(南部主簿)를 지냄.
1484~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노경(老更) - 삼로오경(三老五更)
중국 주(周) 나라 때 설치한 관직 제도. 천자가 나이가 많고 덕 있는 원로를 삼로(三老)와 오경(五更)으로 칭하여 부형(父兄)과 같이 예우함으로써 효제(孝悌)의 모범을 보임. 삼(三)은 삼신(三辰)을, 오(五)는 오성(五星)을 상징함.
중국>주 , 중국 , 법제>관직
-
노경(魯卿)@황맹헌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경(魯卿)@이사증 - 이사증(李思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명종 때 초곶(草串)에 사는 야인(野人) 토벌과 임꺽정(林巨正)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신이면서도 시(詩)에 능하였음.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노경(魯卿) - 이녕(李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교(李㝯)ㆍ이치(李寘)ㆍ이혜(李寭)의 형.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에 능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노경(魯卿)@조참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