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내학(內學)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내헌(耐軒) - 송지수(宋志洙)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선조(先祖) 송인수(宋麟壽)의 《규암집(圭庵集)》을 교정하고 보충하여 1844년에 재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문인
-
냉절(冷節)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냉천진(冷泉津)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년(年) - 채년(蔡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 채신보(蔡申保)의 아들이고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동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454~151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념(恬) - 탁념(卓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로, 전의감 정(典醫監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녕(寧)@명 - 이녕(李寧)@명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부총병(副摠兵)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ㆍ조승훈(祖承訓) 등과 함께 조선에 와서 거창(居昌)ㆍ평양(平壤) 등지에서 전투를 벌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녕(寧) - 송녕(宋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송지정(宋之楨)의 아들이며, 이암(頤庵) 송인(宋寅)의 사촌 동생. 평강 현감(平康縣監)ㆍ안성 군수(安城郡守)ㆍ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櫓) - 이노(李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아들로,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지냄.
1509~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노(櫨) - 양노(梁櫨)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노(璐) - 안로(安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당(安瑭)의 손자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아들로,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등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노(老) - 강노(姜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노(輅) - 김로(金輅)@고려
고려 후기의 무신.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중시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할아버지로, 좌우위 보승 낭장(左右衛保勝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무신
-
노(輅)@이노 - 이노(李輅)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이며 교하 현감(交河縣監) 이원우(李元友)의 아들.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판사(敦寧府判事) 등을 지냄.
1536~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輅)@성로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노(魯)@이노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노(魯)@김로 - 김로(金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金希壽)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음.
149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老) - 남노(南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성균관 전적(城均館典籍)을 지낸 남숭(南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노^낙^양^왕(盧^駱^楊^王) - 초당사걸(初唐四傑)
중국 당(唐) 나라 초기에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을 가리킴.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士族) 출신으로, 젊어서 시단(詩壇)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노^부(盧^跗) - 유^편(兪^扁)
중국 고대 헌원(軒轅) 때의 의관(醫官)인 유부(兪跗)와 주(周) 나라의 의관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명의(名醫)를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