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경(魯經)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경시(盧景時)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노계(瀘溪) - 왕정규(王庭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효종(孝宗)의 문신ㆍ학자. 고종(高宗) 때 호전(胡銓)이 금(金) 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진회(秦檜)를 참할 것을 상소하였다가 유배되자 홀로 시를 지어 전송함.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주역(周易)》에 정통하였음.
1080~11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계(盧溪) - 왕정규(王庭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효종(孝宗)의 문신ㆍ학자. 고종(高宗) 때 호전(胡銓)이 금(金) 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진회(秦檜)를 참할 것을 상소하였다가 유배되자 홀로 시를 지어 전송함.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주역(周易)》에 정통하였음.
1080~11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계(蘆溪)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노계(蘆溪) - 박인로(朴仁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守門將) 등을 지냄.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鄭澈)ㆍ윤선도(尹善道)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詩歌人)으로 불림.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노계선생문집(盧溪先生文集) - 노계집(盧溪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정규(王庭珪)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송 나라 순희(淳熙) 연간에 그 자손과 문인 유강(劉江)이 편집하여 간행하였으며, 작자의 꿋꿋한 성품과 굳센 기운이 글에 잘 나타나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곡(老谷) - 최한공(崔漢公)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세조가 구언(求言)할 때 올린 상소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낙향하여 시주(詩酒)로 소일하면서 후진(後進) 계도에 힘씀.
1423~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노곡(魯谷) - 이항무(李恒茂)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과 동년(同年)으로 《양촌집(陽村集)》에 노곡(魯谷)의 시를 차운한 것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공(潞公)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공(路公)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공(魯公)@증공량 - 증공량(曾公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도(丁度) 등과 함께 《무경총요(武經總要)》를 찬술하였고,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는 일을 총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공(魯公) - 백금(伯禽)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 때의 공자(公子). 주공(周公) 단(旦)의 아들로 노(魯) 나라에 봉해졌으며, 서융(徐戎)을 정벌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공(魯公)@안진경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공서(盧公瑞)@노필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공서(盧公瑞)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공왕(魯共王)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노공왕(魯恭王)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노공포(魯公浦)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과(老果)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