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공(魯公) - 백금(伯禽)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 때의 공자(公子). 주공(周公) 단(旦)의 아들로 노(魯) 나라에 봉해졌으며, 서융(徐戎)을 정벌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공(魯公)@안진경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공서(盧公瑞)@노필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공서(盧公瑞)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공왕(魯共王)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노공왕(魯恭王)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노공포(魯公浦)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과(老果)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과회(盧寡悔)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관반(盧館伴)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구(老歐)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국(潞國)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국공(潞國公)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국공(魯國公)@채경 - 채경(蔡京)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흠종(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글씨에 뛰어났으며 태사(太師) 등을 지냄. 채양(蔡襄)ㆍ서호(徐浩)ㆍ심전사(沈傳師) 등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자주 스승을 배신하고 교체한 탓에 간사하다는 평을 받음.
1047~112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국공(魯國公) - 범질(范質)
중국 후당(後唐)~북송(北宋) 때의 대신. 후당 때 지제고(知制誥)를 지내고, 후주(後周) 때 참지추밀원사(參知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북송 때 재상을 지내고 노국공(魯國公)에 봉해짐.
911~9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국공(魯國公) - 화응(和凝)
중국 오대십국 후당(後唐)~후주(後周) 때의 문신. 범질(范質)이 진사(進士)가 될 때 시관(試官)이었는데,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13등으로 급제시킴. 이는 자신이 13등으로 급제하여 대신이 되었기 때문이었는데, 훗날 범질(范質) 역시 대신이 됨.
898~95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국공주(魯國公主)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노국태사(潞國太師)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군개국공(魯郡開國公)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노노(奴奴)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