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능(盧能)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노달부(盧達夫) - 노적(盧適)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하서집(河西集)》에 〈증노달부(贈盧達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담(老聃)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당(蘆堂)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대춘(魯大春) - 노연령(魯延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노인산(魯仁山)의 아들로, 경성 교수(鏡城敎授)를 역임했고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노도(老陶)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도진(露渡津)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동가(魯東家)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노동멱(奴同覓) - 군위(軍威)
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대구(大丘)와 안동(安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
경상도>군위 , 지명>행정지명
-
노동산인(蘆洞散人)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두(老杜)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랄유편(老辣遺編) - 노랄수사(老辣瀡辭)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 8편.
16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래(老萊)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래옹(老萊翁)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래지의(老萊之衣)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지희(老萊之戲)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희(老萊戲)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희채(老萊戲彩)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량(路梁)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량(鷺梁)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