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동멱(奴同覓) - 군위(軍威)
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대구(大丘)와 안동(安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
경상도>군위 , 지명>행정지명
-
노동산인(蘆洞散人)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두(老杜)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랄유편(老辣遺編) - 노랄수사(老辣瀡辭)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 8편.
16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래(老萊)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래옹(老萊翁)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래지의(老萊之衣)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지희(老萊之戲)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희(老萊戲)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희채(老萊戲彩)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량(路梁)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량(鷺梁)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량육신(鷺梁六臣)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노량진(露梁津)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량진도(鷺梁津渡)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련(魯連)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련자(魯連子)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 -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新羅)의 제3대 국왕. 재위 24~57.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ㆍ최(崔)ㆍ손(孫)ㆍ정(鄭)ㆍ배(裵)ㆍ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함.
?~5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노론(魯論)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룡(老龍)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