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량육신(鷺梁六臣)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노량진(露梁津)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량진도(鷺梁津渡)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련(魯連)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련자(魯連子)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 -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新羅)의 제3대 국왕. 재위 24~57.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ㆍ최(崔)ㆍ손(孫)ㆍ정(鄭)ㆍ배(裵)ㆍ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함.
?~5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노론(魯論)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룡(老龍)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릉(魯陵)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노릉지(魯陵誌) - 장릉지(莊陵誌)
조선 숙종(肅宗) 때 박경여(朴慶餘) 등이, 단종(端宗)의 사적 기록을 모아 편찬한 윤순거(尹舜擧)의 《노릉지(魯陵誌)》에 속지(續誌)를 증보하여 간행한 책.
171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만(盧萬)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만(老瞞)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노망(魯望)@윤귀몽 - 윤귀몽(尹龜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중부 참봉(中部參奉) 등을 지냄.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0~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노망(魯望)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노목(老牧)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목(魯繆) - 목공(穆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409~B.C.377. 등용할 마음도 없으면서 음식으로만 형식적인 예(禮)를 베풀어 공급(孔伋)에게 불인(不仁)한 자로 지목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묘(魯廟)@공자묘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노묘(魯廟)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노문(魯文) - 문공(文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09. 희공(僖公)의 아들. 상중(喪中)에 장가가고, 종묘에 삭일(朔日)을 고유(告由)하는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등 구례(舊例)를 따르지 않아서 공자 및 후세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음.
B.C.693~B.C.6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반(魯班)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