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방(老龐)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방(魯邦)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노봉(爐峯) - 향로봉(香爐峯)
강원도 인제(麟蹄)와 고성(高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강원도>인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노봉(老峯)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봉선생문집(老峯先生文集) - 노봉집(老峯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민정중(閔鼎重)의 시문집(詩文集). 12권 6책. 목판본. 1734년(영조 10) 증손 민백남(閔百男)이 원고를 수집, 편차하고 이재(李縡)에게 서문(序文)을 받아 태인(泰仁)에서 간행함.
17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서명
-
노봉선생집(老峯先生集) - 노봉집(老峯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민정중(閔鼎重)의 시문집(詩文集). 12권 6책. 목판본. 1734년(영조 10) 증손 민백남(閔百男)이 원고를 수집, 편차하고 이재(李縡)에게 서문(序文)을 받아 태인(泰仁)에서 간행함.
17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서명
-
노불기당(盧不欺堂)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사(蘆沙) - 기정진(奇正鎭)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정신적 지주.
1798~187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전라도>순창 , 인명>문사>학자
-
노사(魯史)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사구(魯司寇)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노사치(盧士稚)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산(魯山)@원덕수 - 원덕수(元德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명리(名利)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
696~75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산(魯山)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노산군(魯山君)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노산군부인(魯山君夫人)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노산대군(魯山大君)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노산부인(魯山夫人)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노산정사(蘆山精舍) - 도천서원(道川書院)
조선 태종(太宗) 때 경상도 단성(丹城)에 건립한 서원. 1401년(태종 1) 창건하고 1554년(명종 9)에 사액되었으며, 문익점(文益漸)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4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생(盧生) - 노오(盧敖)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은자. 진시황(秦始皇)이 박사(博士)로 삼아 신선(神仙)을 구해오게 하였는데, 한번 가서 돌아오지 않고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선인(仙人) 약사(若士)를 만나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서(魯西)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