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소재(盧穌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소재문집(盧穌齋文集)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노소재집(盧穌齋集)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노송(老松)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노송당(老松堂)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노송당일본행록(老松堂日本行錄) - 일본행록(日本行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송희경(宋希璟)이 일본(日本)에 회례사(回禮使)로 갔을 때 기록한 사행일기(使行日記). 목활자본.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1800년(정조 24) 후손들이 간행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송재(盧松齋)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송정(老松亭)@정지년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노송정(老松亭) - 이계양(李繼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정(李禎)의 아들이며, 청해군(淸海君) 이우(李堣)의 아버지로, 단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예안(禮安)으로 낙향함.
1424~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노수(老叟)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수(魯叟)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노숙(魯叔) - 유우삼(劉友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유관(劉瓘)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노숙(魯叔)@조참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노순(鱸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숭(盧崇)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시옹(盧詩翁)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신경(盧藎卿)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씨서(老氏書)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암선(老巖仙)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암실(盧暗室)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