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애(蘆厓) - 유도원(柳道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존심(存心)ㆍ함양(涵養)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 주석학(註釋學)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
1721~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노애(魯哀) - 애공(哀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제후. 재위 B.C.494~B.C.486. 정공(定公)의 아들로, 대외적으로 오(吳) 나라와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고, 월(越) 나라의 힘을 빌려 삼환씨(三桓氏)를 제거하려 했으나 도리어 그들의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함.
?~B.C.48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야(老爺)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노어(魯語)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영광전(魯靈光殿) - 영광전(靈光殿)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곡부(曲阜)에 건립된 궁전. 경제의 아들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가 세움. 다른 궁전들은 모두 파괴되었으나 이 궁전은 그대로 보존되어, 후에 훌륭하고 절의가 있는 인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노옥계(盧玉溪)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옹(魯翁)@이희삼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노옹(魯翁) - 이희증(李希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귀(李龜)ㆍ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으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역임함.
1486~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노옹(魯翁) - 성희증(成希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찬(成瓚)의 아들이자 성희안(成希顔)의 형으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노완(老阮)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왕(潞王) - 말제(末帝)@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4대 왕. 재위 934~936. 명종(明宗)의 양자로 노왕(潞王)에 봉해짐. 명종 아들 민제(閔帝)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3년 뒤 분사(焚死)하면서 후당도 멸망함.
885~936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노왕(魯王)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노운(蘆雲) - 이복홍(李福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이며,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노운헌(老雲軒)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노유(老儒)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유(魯儒)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노은(老隱)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노은(老隱)@성천주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노음죽(奴音竹) - 음죽(陰竹)
경기도 동남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 내륙지방의 교통요지로서 도로가 발달하였고, 천민천(天民川)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쌀이 많이 생산됨.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利川市)에 편입됨.
경기도>음죽 , 지명>행정지명
-
노이재(盧伊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