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세걸(文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실린 〈도문사호(悼文士豪)〉라는 시(詩)의 원주에서 “탐라(耽羅)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유학
-
문세욱(文世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령(開寧). 현감(縣監) 문승수(文承洙)와 학유(學諭) 문승사(文承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문사>유학
-
문소왕(文昭王)
중국 오대십국 초(楚) 나라의 왕. 재위 932~947.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속명(文續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관(文孫貫)의 아들이며, 문경동(文敬仝)의 아버지로, 전연사 직장(典涓司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숭질(文崇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무(文孫武)의 아들이자, 문걸(文傑)의 아버지. 부위(副尉)를 지냈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문승수(文承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령(開寧). 문세욱(文世郁)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문승조(文承祖)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내의시랑(內議侍郞)을 지낸 문주백(文周伯)의 아들로, 대사마(大司馬)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암서원(文巖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봉화(奉化)에 건립된 서원. 1694년(숙종 20)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조목(趙穆)을 배향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옹방(文翁坊)
중국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있는 문묘가(文廟街)의 옛 이름. 동진(東晉)의 환온(桓溫)이 촉(蜀)을 칠 때 이 거리 어귀에 전한(前漢)의 문신인 문옹(文翁)을 기념하는 패루(牌樓)를 세운 데서 붙여진 이름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문옹사(文翁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 있는 문옹(文翁)의 사당.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으로 촉군 태수(蜀郡太守)가 되어 교육 사업에 큰 공을 이룬 문옹을 기리기 위하여 백성들이 건립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왕(文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89~B.C.675. 무왕(武王)의 아들로, 즉위 후 영(郢)으로 천도하고, 여러 나라를 정벌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룸. 화씨벽(和氏璧)의 진가를 인정한 고사로도 유명함.
?~B.C.67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원영화(文苑英華)
중국 송(宋) 나라 때 편찬된 시문선집(詩文選集). 천 권. 송사대서(宋四大書)의 하나로, 982년에 이방(李昉) 등이 칙명으로 편찬하여 987년에 완성하였는데, 남조(南朝)의 양(梁)으로부터 당(唐)까지의 시문 1만 9102편을 모아 수록함.
98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위세(文緯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임계영(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龍潭縣令)이 되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에 제수됨.
1534~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문유지(文有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조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