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인보(盧仁父)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인성(老人星) -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반구(南半球)의 용골(龍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
자연물>천체
-
노인유(老人乳)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노자(老子)@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자(老子)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자(老子)@도덕경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자(魯子)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자고(盧子固) - 노석령(盧石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방노자고석령(訪盧子固石齡)〉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자응(盧子膺)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자주(老子注) - 노자주(老子註)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인 왕필(王弼)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경문(經文)을 풀이한 주석서(註釋書). 2권. 왕필의 또 다른 주석서인 《주역주(周易註)》와 함께 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 시대에 성행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자평(盧子平)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장(魯莊) - 장공(莊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93~B.C.662. 노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慶父)와 숙아(叔牙)가 제후의 자리를 탐하자, 장공의 동복인 계우(季友)가 숙아를 독살하고 장공의 아들 반(般)을 태자로 세움.
B.C.706~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장공(魯莊公) - 장공(莊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93~B.C.662. 노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慶父)와 숙아(叔牙)가 제후의 자리를 탐하자, 장공의 동복인 계우(季友)가 숙아를 독살하고 장공의 아들 반(般)을 태자로 세움.
B.C.706~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재(魯齋)@허형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재(魯齋)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재왕씨(魯齋王氏)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재허씨(魯齋許氏)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저(鷺渚)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전사(老澱寺) - 석골사(石骨寺)
경상남도 밀양(密陽) 운문산(雲門山)에 위치한 사찰. 560년(진흥왕 12) 비허(備虛)가 창건함. 또는 773년(혜공왕 9) 법조(法照)가 창건했다고도 함. 고려 건국에 도움을 주어 고려시대에 크게 발전함.
560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