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정(盧頂) - 비로봉(毗盧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의 주봉(主峯). 높이 1,638m. 일찍이 문인들의 시의 소재로 널리 쓰임.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노조동(盧祖同)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조린(盧照隣)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주(鷺洲) - 백로주(白鷺洲)
중국 양자강(揚子江) 가운데 있던 모래섬. 후에 강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육지와 합쳐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노준(盧峻)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중수(魯中叟)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노지(奴只)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노직(魯直)@노종도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직(魯直)@황정견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직(魯直) - 조렴(趙廉)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안축(安軸)ㆍ최용갑(崔龍甲)과 함께 원(元) 나라에서 과거에 응시하여 제과(制科)에 급제하였고, 고려에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1290~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노직(魯直)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천(老泉)@소순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노천(老泉)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천(老泉)@유협 - 유협(柳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노천(老泉)@정순 - 정순(鄭洵)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김제 군수(金堤郡守)를 지낸 정자숙(鄭自淑)의 아들.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노천(老泉)@유간 - 유간(柳澗)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지(承旨) 유여항(柳汝恒)과 동래 부사(東萊府使) 유여각(柳汝恪)의 아버지로, 참찬(參贊)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54~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노천선생문집(老泉先生文集) - 가우집(嘉祐集)
중국 송(宋) 나라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순(蘇洵)의 문집. 16권과 부록 2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정치와 역사에 대한 평론이 들어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첨(盧僉) - 노첨(盧簽)
조선 전기의 문신.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유감(柳堪)과 춘성부정(春城副正) 이위(李偉)의 장인으로,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촌(老村)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촌(魯村) - 정윤량(鄭允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로, 이황(李滉)의 문인. 노수(盧遂)ㆍ김응생(金應生) 등과 더불어 부래산(浮來山)에 정몽주(鄭夢周)를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을 창건(創建)하였는데,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음.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