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한(老韓)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노해(盧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노후(魯侯)@유여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노후(魯侯) - 희공(僖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노 나라 장공(莊公)의 아들이자 민공(閔公)의 형으로, 민공의 뒤를 이어 제후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흡주(盧歙州) - 노조(盧肇)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흡주 자사(歙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표집(文標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희(魯僖) - 희공(僖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노 나라 장공(莊公)의 아들이자 민공(閔公)의 형으로, 민공의 뒤를 이어 제후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녹(漉)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녹(祿) - 김녹(金祿)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세칭(世稱) 삼원수(三元帥)라 불린 김득배(金得培)ㆍ김득제(金得齊)ㆍ김선치(金先致)의 부친이며, 조선 선조(宣祖)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귀영(金貴榮)의 10대조. 좌대언(左代言)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녹^산(祿^産) - 산^록(産^祿)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황후인 여후(呂后)의 일족 여산(呂産)과 여록(呂祿)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녹균(綠筠)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녹균(綠筠)@이문량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녹도(鹿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녹동(鹿洞) - 백록동(白鹿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성자현(星子縣)의 북쪽, 광여산(匡廬山)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 당(唐)의 이발(李渤)이 여기에 은거하여 흰 사슴을 기르며 지낸 것을 계기로 하여 백록으로 부르게 되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녹동규해(鹿洞規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녹리선생(甪里先生) - 주술(周術)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해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숨어살며 약초 캐고 바둑 두는 것으로 소일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녹림(鹿林)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녹문(鹿門)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녹문방(鹿門龐)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녹발장군(綠髮將軍)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녹보(祿父)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