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녹^산(祿^産) - 산^록(産^祿)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황후인 여후(呂后)의 일족 여산(呂産)과 여록(呂祿)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녹균(綠筠)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녹균(綠筠)@이문량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녹도(鹿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녹동(鹿洞) - 백록동(白鹿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성자현(星子縣)의 북쪽, 광여산(匡廬山)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 당(唐)의 이발(李渤)이 여기에 은거하여 흰 사슴을 기르며 지낸 것을 계기로 하여 백록으로 부르게 되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녹동규해(鹿洞規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녹리선생(甪里先生) - 주술(周術)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해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숨어살며 약초 캐고 바둑 두는 것으로 소일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녹림(鹿林)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녹문(鹿門)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녹문방(鹿門龐)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녹발장군(綠髮將軍)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녹보(祿父)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녹보(祿甫)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녹비옹(鹿皮翁)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녹산(祿山)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녹산(鹿山)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녹산교(祿山橋)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녹생(祿生)@이녹생 - 임언군(林堰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
?~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녹생(祿生)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녹수(淥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