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녹보(祿甫)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녹비옹(鹿皮翁)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녹산(祿山)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녹산(鹿山)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녹산교(祿山橋)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녹생(祿生)@이녹생 - 임언군(林堰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
?~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녹생(祿生)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녹수(淥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녹수(綠樹) - 장녹수(張綠水)
조선 제10대 연산군(燕山君)의 후궁. 제안대군(齊安大君)의 여종이었는데 연산군의 눈에 들어 입궐하여 총애를 받았고, 이를 기화로 국사(國事)에 간여하고 재정의 궁핍을 초래하는 등 연산군의 실정(失政)을 부추김.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녹수홍련(綠水紅蓮) - 범련(泛蓮)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유고지(庾杲之)가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가 되자, 소면(蕭緬)이 왕검에게 “녹수에 떠다니며 홍련에 기대었구나[泛綠水依芙蓉]”라며 유고지의 인품을 칭찬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훌륭한 막료(幕僚)로 등용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녹아(漉兒)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녹아(祿兒)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녹야(鹿野) - 사도(史道)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조선 중종(中宗) 때 명 나라 세종(世宗)의 등극 조서를 받들고 사신으로 왔으며, 원접사(遠接使) 이행(李荇) 등과 주고받은 시문(詩文)이 《황화집(皇華集)》에 실려 있음.
1485~155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녹야당(綠野堂) - 배도(裴度)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재상. 절도사(節度使)를 억제하고 환관(宦官)에 대해 강경책을 취하였으며,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함.
765~8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녹야옹(綠野翁) - 배도(裴度)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재상. 절도사(節度使)를 억제하고 환관(宦官)에 대해 강경책을 취하였으며,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함.
765~8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녹야원(鹿野園)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녹옹(鹿翁)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녹원(鹿苑)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녹원(鹿院)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녹원(鹿園)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