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녹의(淥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녹의(綠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녹의(醁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녹천(鹿川) - 이유(李濡)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민진후(閔鎭厚) 등과 교유함.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645~17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농(襛) - 근녕군(謹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 신빈신씨(信嬪辛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가담하지 않고 관악산(冠岳山) 연주대(戀主臺)에 올라 14일간 절식하며 통곡함.
1411~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농(農)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농^헌(農^軒) - 헌^농(軒^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신농(神農)을 함께 부르는 말. 의약(醫藥)의 시조(始祖)를 말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농계(聾溪)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농두(隴頭) - 범염(范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
112~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농로(聾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사(農師) - 육전(陸佃)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에게 수학하고 상서좌승(尙書左丞) 등을 지냈으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박주지사(亳州知事)로 좌천됨. 예가(禮家)와 명수(名數)의 학설에 밝음.
1042~11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농상(農祥) - 방성(房星)
28수(宿)의 하나. 동남방(東南方)에 있는 창룡칠수(蒼龍七宿)의 네 번째 별로, 이 별의 정기가 땅에 내려와 준마(駿馬)가 된다고 하여 거마(車馬)를 주관하는 별로 알려짐.
자연물>천체
-
농서(隴西)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농서(隴西)@이영성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농서공(隴西公)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농서공자(隴西公子)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농서광객(隴西狂客)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서군공(隴西郡公)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농서이씨(隴西李氏) - 성주이씨(星州李氏)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이순유(李純由)를 시조로 삼고, 고려 고종(高宗) 때의 향리인 이장경(李長庚)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성주 , 인명>집단>성씨
-
농서자(籠西子)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