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농암(農巖)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대인(聾巖大人)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문집(農巖文集) - 농암집(農巖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원집(原集) 36권, 속집(續集) 2권, 별집(別集) 4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원집은 1709년(숙종 35) 아우 김창흡(金昌翕) 등에 의해 간행됨.
17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상공(聾巖相公)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선생문집(聾巖先生文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문집속집(聾巖先生文集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속집(聾巖先生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야로(聾巖野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옹(聾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와(聾窩)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 - 김독(金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公州道儒學敎授)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조원길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농장인(農丈人)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농재(聾齋) - 이언괄(李彦适)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로, 이언적(李彦迪)의 아우. 학행으로 천거되어 송라도 찰방(松蘿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 이언적이 윤원형(尹元衡)의 일파에게 몰려 유배되자 상소문을 지어 윤원형의 전횡을 규탄함.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농중자(籠中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농판(隴坂) - 농산(隴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농현(隴縣) 서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옛날에 행역(行役) 나간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며 슬퍼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농환재(弄丸齋) - 남도진(南道振)
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며,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남택하(南宅夏)의 아들.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시조(時調)와 가사(歌辭)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
1674~17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뇌(賴) - 정뢰(鄭賴)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에 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뇌^진(雷陳) - 진^뇌(陳^雷)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인 진중(陳重)과 뇌의(雷義)를 함께 부르는 말. 우의(友誼)가 매우 두터운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