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농서자(隴西子)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농수(聾叟)@금원정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농수(聾叟)@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수(聾叟)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농암(籠岩)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농암(籠巖)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농암(聾巖)@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聾菴) - 김광저(金光儲)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농암(農巖)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대인(聾巖大人)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문집(農巖文集) - 농암집(農巖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원집(原集) 36권, 속집(續集) 2권, 별집(別集) 4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원집은 1709년(숙종 35) 아우 김창흡(金昌翕) 등에 의해 간행됨.
17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상공(聾巖相公)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선생문집(聾巖先生文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문집속집(聾巖先生文集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속집(聾巖先生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야로(聾巖野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옹(聾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와(聾窩)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 - 김독(金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公州道儒學敎授)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