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뇌계(㵢溪)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뇌계진은(雷溪眞隱)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곡(磊谷)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공(雷公) - 뇌예지(雷禮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에 급제하여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냈으며, 문장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뇌룡(雷龍)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뇌룡재(雷龍齋)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뇌무(賴茂) - 종뇌무(宗賴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정평(正平) 연간에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설치하고 두량(斗量)을 제정한 종경무(宗經茂)의 아들로 우마대부(右馬大夫)를 지냄.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뇌수산(雷首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뇌씨(雷氏) - 뇌사(雷思)
중국 금(金) 나라의 문신ㆍ학자. 대리시 경(大理寺卿)ㆍ동지북경전운사사(同知北京轉運使事)를 지내고, 저술로 《역해(易解)》가 있음.
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연(雷淵)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뇌은(耒隱) - 전귀생(田貴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ㆍ문인.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삼사좌윤(三司左尹)ㆍ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으나, 고려 말엽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두문동에 들어가 조선의 태조(太祖)가 여러 차례 불러도 나오지 않고 여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뇌자(賚子)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뇌진자(懶眞子)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뇌천(雷川) - 김부식(金富軾)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함.
1075~115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하(雷夏)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누경(婁敬)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누공(婁公)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누리(累利)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누사(婁師)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누수(婁宿) - 누성(婁星)
별자리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열여섯째 자리에 있는 별 이름. 규성(奎星)ㆍ위성(胃星)과 함께 강루(降婁)의 자리에 속함.
자연물>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