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누실(陋室) - 이담(李湛)@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기거주(起居注)와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하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송천봉(宋天鳳) 등을 선발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누암(樓巖) - 고루암(鼓樓巖)
중국 복건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에 있는 암벽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누재(陋齋)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누졸재(陋拙齋)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누죽(淚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누항라치파(婁恒囉哆婆)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누후(樓侯) - 장소(張昭)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손책(孫策)을 도와 오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보좌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음.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냄.
156~23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눌(訥) - 허눌(許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영(許伯瑛)의 아들이며 허백기(許伯琦)의 조카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눌(訥)@박눌 - 박눌(朴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사직(司直)을 지낸 박소종(朴紹宗)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눌(訥)@권눌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선(訥仙)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庵)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눌암(訥庵)@송세림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菴)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菴)@김찬 - 김찬(金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언침(金彦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인(東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 일본과의 강화(講和)에서 공을 세움.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
1543~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성삼문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이광정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옹(訥翁)@송기수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눌옹집(訥翁集) - 눌옹문집(訥翁文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송석충(宋碩忠)의 시문집(詩文集). 불분권 1책. 목판본. 1693년(숙종 19) 송응망(宋應望)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권두에 김굉(金宏)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응망의 발문이 있음.
169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