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유필(文惟弼)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덕병(德柄) 문극겸(文克謙)의 아들로, 추밀원사(樞密院使)ㆍ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냄.
?~122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의(文義)
충청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쪽은 회인(懷仁), 남쪽은 회덕(懷德), 북쪽은 청주(淸州)와 접해 있으며,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있음.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에 속함.
충청도>문의 , 지명>행정지명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익명(文益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익세(文益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백광훈(白光勳)과 함께 노수신(盧守愼)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문익주(文益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효렴(孝廉)으로 이후백(李後白)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狼川縣監)ㆍ태인 현감(泰仁縣監)을 지냈으며,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
1535~16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문익형(文益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인걸(文仁傑)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장간공(章簡公) 문성화(文聖和)의 아들.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ㆍ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며, 조정이 권신들에게 좌지우지되자 사직하고 가솔을 거느리고 지리산에 은거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인위(文仁渭)
고려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정(文証)의 아들로, 김치양(金致陽)의 무리가 숙청될 때 강조(康兆)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으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101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자수(文自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유궁(儒宮)ㆍ민고(民庫)ㆍ향약(鄕約) 등 고을의 규범을 만들어 현(縣)의 본보기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장궤범(文章軌範)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산문선집(散文選集). 7권. 한(漢) 나라에서 송 나라까지의 명문장 69편을 뽑아 분석과 해설을 붙여 편집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문장창(文章昶)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경간공(敬簡公) 문효제(文孝悌)의 아들로, 태위(太尉)ㆍ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재자(文在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 심연(沈演)을 따라 의병을 일으켰고, 공을 세워 조정에서 선전관(宣傳官)으로 추천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음.
1602~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문정(文挺)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문지원(文智遠)의 아들로, 대도독(大都督)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정공유고(文貞公遺稿)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이자 부원군인 민유중(閔維重)의 유고집(遺稿集). 10권 10책. 필사본. 정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초본(草本)으로, 상소(上疏)ㆍ계사(啓辭)ㆍ헌의(獻議) 등의 공거문(公車文)과 서간(書簡)이 대부분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