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눌재(訥齋)@김생명 - 김생명(金生溟)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사화(乙巳士禍)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
1504~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박상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박증영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눌재고(訥齋稿) - 눌재집(訥齋集)@박상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박상(朴祥)의 시문집(詩文集). 16권 6책. 목판본. 시(詩)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문장은 10여 편만 수록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눌지왕(訥祗王) -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신라 제19대 왕. 재위 417~458. 내물마립간(內物麻立干)의 아들이자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의 아버지. 백제와 공수 동맹(攻守同盟)을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으며, 왕위의 부자 상속제를 확립하고 우차법(牛車法)을 제정함.
?~4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눌촌(訥村)@배중부 - 배중부(裵仲孚)
고려 후기의 문인. 김덕유(金德儒)ㆍ이직(李稷) 등과 교유함.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눌헌(訥軒)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뉴(紐)@1527 - 김뉴(金紐)@1527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민구령(閔九齡)의 문인(門人)으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합천(陜川)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배향됨.
1527~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뉴(紐)@1420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늑(玏)@문륵 - 문륵(文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이자, 문할(文劼)의 동생.
15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늑(玏)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늑대(勒臺) - 탄금대(彈琴臺)
충청도 충주(忠州)의 견문산(犬門山)에 있는 절벽 바위.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소서행장(小西行長)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
충청도>충주 , 유적>기타유적ㅣ지명>자연지명
-
능(凌) - 최능(崔凌)
조선 전기의 생원. 김안국(金安國)ㆍ박배원(朴培源)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능(稜)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능^화(楞^華) - 능^법(楞^法)
불교 경전인 능엄경(楞嚴經)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함께 부르는 말. 둘다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침.
문헌>기타문헌
-
능가(楞伽)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능가산(楞伽山)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능각(凌閣)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고대(凌敲臺) - 능효대(凌歊臺)
중국 안휘성(安徽省) 황산(黃山) 위에 있는 누대 이름.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무제(武帝)가 남쪽으로 유람하다가 이곳에 올라 이궁(離宮)을 세웠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능라군(綾羅君) - 권덕신(權德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란(權鸞)의 아들로, 아들인 선무공신(宣武功臣) 권응수(權應銖)의 공으로 인해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능라군(綾羅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신녕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