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능연(凌烟)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연각(凌烟閣)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운(凌雲) - 박붕린(朴鵬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능원(綾原)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원군(綾原君)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원군(綾原君)@능원대군 - 능원대군(綾原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백부인 의안군(義安君) 이성(李珹)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곧고 온후한 성품으로 종실의 모범이 됨.
1592~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능원위(綾原尉)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인(能人)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능인(能仁)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능인적묵(能仁寂默)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능정후(陵亭侯) - 순유(荀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순욱(荀彧)의 조카. 지모(智謀)와 정략(政略)이 뛰어나 조조(曹操)의 모사(謀士)로서 많은 공을 세우고, 군사(軍師)ㆍ상서령(尙書令)을 지냄.
157~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능주(綾州)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주구씨(綾州具氏) - 능성구씨(綾城具氏)
고려의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집단>성씨
-
능창군(綾昌君) - 능창대군(綾昌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숙부인 신성군(信城君)에게 출계함. 1615(광해군 7)에 신경희(申景禧) 등이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는 소명국(蘇鳴國)의 무고로 강화도 교동(喬桐)에 안치(安置)되었다가 17세로 죽음.
1599~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능창위(綾昌尉)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능천(綾川)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대불정경(大佛頂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붕(大鵬) - 이도남(李圖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적(李迪)의 아들로, 동래 부사(東萊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노모(老母)를 봉양함.
1496~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