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비(大悲)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대비재(大庇齋)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대빈(大斌) - 송대빈(宋大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이던 1593년(조선 선조 26)에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이천(二千)의 병마(兵馬)를 이끌고 조선에 왔다가 이듬해 정월에 돌아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빙(待聘)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대사(大寺)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대사(大射)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대사강(帶沙江)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대사례(大射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대사자왕법보장해국일(大師子王法寶藏海國一)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대산(大山)@중조산 - 중조산(中條山)
전라도 능성(綾城)에 있는 산 이름.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된 곳으로, 양팽손(梁彭孫)이 이곳에 조광조의 사당을 지어 추모하였으며, 산 아래에 학포당(學圃堂)을 짓고 은거함.
전라도>능성 , 지명>자연지명
-
대산(大山)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산(對山) - 강해(康海)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수찬(翰林修撰) 등을 지냈으며, 이몽양(李夢陽) 등과 문학의 복고(復古)를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특히 산곡(散曲)에 뛰어나 왕구사(王九思)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
1475~154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산(臺山)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산(臺山)@오대 - 오대산(五臺山)
강원도 강릉(江陵)ㆍ평창(平昌)ㆍ홍천(洪川)에 걸쳐 있는 산. 다섯 봉우리가 둥글게 벌려 섰고, 크고 작은 봉우리가 고루 있어 명칭이 생김.
강원도>홍천ㅣ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산선생문집(大山先生文集) - 대산집(大山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상정(李象靖)의 문집. 조카인 이우(李㙖)에 의해 1802년(순조 2) 52권 27책으로 간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상(大常)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대생(大生) - 민대생(閔大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중립(閔中立)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민효환(閔孝懽)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민효열(閔孝悅)의 아버지로 소윤(小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대석죽(大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대성(大城)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대성(大成)@노대성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