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소자(大笑子)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대소헌(大笑軒)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대소헌문집(大笑軒文集)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소헌선생일고(大笑軒先生逸稿)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소헌집(大笑軒集)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송자(大宋紫)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대수(大受)@박수 - 박수(朴受)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며,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음.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대수(大受)@민정중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受)@구용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受)@윤기 - 윤기(尹器)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를 방문하고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受) - 노희(盧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受)@황대수 - 황대수(黃大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낸 황원(黃瑗)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1534~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售) - 황선(黃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壽)@심대수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壽)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手)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수(大樹) - 풍이(馮異)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즉위하기 전의 광무제를 도와 왕랑(王郞)을 격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하였으며, 성품이 겸손하여 여러 장수들이 서로 공을 논할 때면 늘 나무 밑으로 피해 있었으므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고 일컬어짐.
?~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수(大樹)@최력 - 최력(崔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평소에 《근사록(近思錄)》ㆍ《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함.
1522~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樹)@임억령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脩) - 유대수(兪大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진사(進士) 유함(兪涵)의 아들.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내섬시 정(內贍寺正)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1546~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