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아(大雅)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아군자(大雅君子)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안(戴安)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암(大菴)@박성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암(大菴)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야(大倻)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大冶) - 최영견(崔永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훈련원참봉(訓鍊院參奉)을 지낸 최곤(崔崑)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대야성(大耶城)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주(大耶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양(對陽)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대양군(大陽君) - 정덕성(丁德盛)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군국사(軍國事)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됨.
중국>당 , 중국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언(臺彦) - 김대언(金臺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부마.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順妃許氏)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永福翁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인척
-
대언사(代言司)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대여(大汝) - 탁의상(卓義尙)
조선 전기의 문신.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철수(卓哲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대여산(岱輿山) - 대여(岱輿)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표류하여 다녀서 정처가 없다고 함.
고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역(大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대연(大淵) - 길대연(吉大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증손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1483~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대연황제(大燕皇帝)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영(大榮) - 이대영(李大榮)
고려 후기의 무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대완(大宛) - 대완국(大宛國)
고대 중앙아시아에 있던 나라 이름. 아라비아의 중국식 이름으로, 명마(名馬)가 산출되었다고 함.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중앙아시아로 진출하기 위해 이광리(李廣利)를 파견하여 이곳으로 원정을 단행함.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