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순(大順) - 설공달(薛公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에게 인정을 받고 맹교(孟郊)와 교유하였으며, 국자 조교(國子助教)를 지냄. 죽은 후 한유가 묘지(墓誌)를 지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술(大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승(大升)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승(大升)@경대승 - 경대승(慶大升)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1179년(명종 9) 무신정권기의 집권 무신인 정중부(鄭仲夫)․송유인(宋有仁)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으며, 사적 무력집단인 도방(都房)을 두어 정권유지의 바탕을 마련함.
1154~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대승(戴勝)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대시(大時) - 호대시(胡大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굉(胡宏)의 아들이며, 장식(張栻)의 사위이자 제자로, 장식이 죽은 뒤 진부량(陳傅良)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호남답문(湖南答問)》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신(大伸) - 이대신(李大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성(杞城).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이 전함.
1510~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대씨(戴氏) - 대성(戴聖)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숙부 대덕(戴德)이 엮은 《대대례(大戴禮)》 85편을 간추려 《소대례(小戴禮)》 49편을 편찬함. 이 《소대례》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아(大雅)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아군자(大雅君子)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안(戴安)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암(大菴)@박성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암(大菴)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야(大倻)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大冶) - 최영견(崔永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훈련원참봉(訓鍊院參奉)을 지낸 최곤(崔崑)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대야성(大耶城)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주(大耶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양(對陽)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대양군(大陽君) - 정덕성(丁德盛)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군국사(軍國事)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됨.
중국>당 , 중국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언(臺彦) - 김대언(金臺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부마.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順妃許氏)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永福翁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인척